점진적 발전을 목표로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본문

자기개발/독후감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꿈이 큰 도전쟁이 2022. 12. 18. 23:26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이번에 읽은 책은 자기계발로 유명한 데일 카네기의 "자기관리론"이다. 책을 다 읽었기에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나에게 그렇게 도움되는 책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이미 나는 목표를 정했고, 하고 싶은 것들이 생겼으며, 과거와 미래가 아닌 현재를 살기로 마음 먹었으며,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충실히 살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하기에, "걱정"이 없는 상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 자신이 걱정이 많고, 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일에대해 걱정하거나 일어난 일들에 대해 걱정을 과하게 한다면,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책을 잘 활용하기 위한 9가지의 제안이 있는데

1. 걱정 극복법을 내 것으로 만들겠다는 깊고도 절실한 욕망을 가져라

2. 한장을 적어도 두 번 읽고 나서 다음 장으로 넘어가라

3. 가능한 한 자주 읽기를 멈추고, 각각의 제안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자문해보라.

4. 중요한 아이디어에는 밑줄을 치라.

5. 달마다 이 책을 다시 읽으라.

6. 기회가 있을 때마다 책에서 배운 원리를 실천하라. 이 책이 일상에서 마주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주는 실용적인 핸드북이라고 여겨라.

7. 당신이 규칙을 위반할 때마다 그 사실을 일깨우는 친구에게 2000원을 주는 식으로, 배움을 재미있는 놀이로 만들어라.

8. 매번 자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점검하라. 어떤 실수를 저질렀고, 무엇이 개선되었으며, 삶에 유용한 교훈을 충분히 얻었는지 자문해보라.

9. 일상에서 언제 어떻게 이 책의 원리를 적용했는지 책의 마지막 부분에 계속 기록하라.

 

이렇게 이다.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나는 이 중 하나도 지키지 않았다. 걱정이 없었으며 앞으로도 없도록 할 계획이기에, 지금의 내가 굳이 이 책을 여러번 정독할 필요가 없다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한테 적용 가능한 조언들이 있었는데, 조금만 나열해보자면

 

1. 오늘을 충실하게 살아라.

2.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라(문제 작성 - 할 수 있는 일 작성 - 결정 - 실행)

3. 피할 수 없는 일들은 받아들여라.

4. "나"의 인생을 살아라.

 

이정도인 것 같다. 사실 나도 엄청 걱정이 많은 사람 중 하나였다. 취업은 할 수 있을까? 취업을 한다면 안짤리고 일할 수 있을까? 지금 취업을 안하면 경기가 안좋아져서 취업을 못하는 것 아닐까? 등 일어나지도 않은 일에대한 걱정만 한가득 갖고 있었다. 정말 무서운 것은 이러한 걱정들이 조금씩 삶을 잠식하고 갉아먹는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조그마한 걱정들이었지만, 이 걱정들에 대해 생각하면 할 수록 이 걱정들이 점점 커져갔고, 두려움에 사로잡혀 올바른 판단을 못하고 있던 것 같다. 그렇기에 이 책은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걱정하는 사람", "이미 걱정에 너무 많이 휩싸인 사람", "걱정 때문에 지금의 내 삶을 못살고 불행한 사람"들에게 추천해줄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에는 다양한 챕터가 있고, 아마 많은 챕터 중 본인에게 해당하는 내용이 소개되는 챕터가 있을 것이다. 그 챕터를 읽고 혼자 사색하면서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도 그랬지만 내 주변만 하더라도 일어나지 않은 일들에 걱정하고,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만날때마다 책 내용을 인용하여 조언을 해주곤 하는데, 사실 사람 마음이라는게 본인이 마음을 먹기 전까지는 주변에서 어떠한 말을 해도 잔소리나 헛소리로 들린다는 것을 그 누구보다 잘 알기에, 이제는 이 책을 빌려주거나 선물해주는 방법을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나 또한 만약 내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어느 순간에 걱정들이 생긴다면, 위의 원칙들을 지켜가며 책을 다시 읽고, 내가 "왜" "무엇때문에" 걱정하는지 분석하고 해결 방안들을 고민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이 책이 써진 것이 어느새 100년 가까이 되었는데, 100년 전의 사람들이 고민하는 문제들과 지금 현대인들의 고민이 별반 차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걱정은 결국 사람의 "마인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된 것 같다.

 

Comments